본문 바로가기
식물병충해와 대책

진딧물 생기는 이유 증상 진딧물 제거제 만들기

by 친절한 봉수네 2021. 11. 8.
728x90
반응형

진딧물 넌 누구?

식물병충해에 대한 이런저런

포스팅을 보면서 필자의

베란다정원에는 언제쯤 병충해가

쳐들어올까 항상 노심초사했는데

드디어 각종 벌레들이 집단으로

공격을 해오기 시작했다.

 

오늘은 그중 제일 먼저 진딧물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진딧물 넌 누구냐?

 

몸길이가 2~4cm에 불과해

잘 보이지 않으며 식물에 기생해

즙액을 빨아먹고 산다.

 

몸 색깔은 다양해서 대체로

연두색을 띠지만 노란색, 갈색,

검은색, 붉은색 진딧물도 있다.

 

진딧물이 있으면 주변에 끈적한

설탕물 같은 액체가 있는데

이는 식물의 영양분을 빨아먹고

진딧물이 배출한 것으로 개미 등이

이 액체를 먹으면서 공생관계를

유지한다.

 

따라서 주변에 개미가 있으면

같이 해결해야 한다.

 

또한 주변에 하얀 가루 같은 것이

있는데 이는 밀랍 가루(하얀 가루)를

분비해 몸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진딧물 생기는 이유

  

진딧물은 좀 약한 식물에

날씨가 덥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안될 때 생긴다고 한다.

(※ 진딧물은 물을 싫어한단다)

 

그런데 필자의 베란다정원 상황을

전제로 진딧물 생기는 이유를

생각해 보면

 

① 외부에서 바람을 타고 들어

왔던지

② 화원에서 구입한 화초에

숨어들어왔던지

두 가지일 것 같다.

 

아마 두 번째가 유력하지 않나

생각한다.

최근에 들여온 소국에서부터

진딧물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최근에 들여온 소국

 

진딧물 증상

 

식물을 살피다가

잎이나 줄기에 끈적끈적한 액체가

있거나 또는 하얀 가루 같은 것이

있으면 일단 진딧물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필자의 소국에는 하얀 가루 같은

것이 여기저기 보인다.  

하얀 가루와 진딧물

그리고 진딧물도 제 집인 양

줄기에 빼곡히 붙어있다.

징그러운 진딧물

 

진딧물 제거 방법

 

진딧물 피해를 입는 분들이

참 많은가 보다.

진딧물 제거 방법에 대해

참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중 필자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좀 한정적일 수밖에

없을 듯하다.

 

재료 수급의 한계와 활용의 복잡성

등을 감안해 필자가 활용 가능한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진딧물이 퍼져있는 상황

 

① 직접 잡는 방법

 

필자가 거의 처음 진딧물을

마주하면서 한 행동은

직접 잡는 것이었다.

 

소국을 앞에 두고 줄기 하나

잎 하나를 뒤져가면서 진딧물을

잡았다.

 

조그만 잔에 대유 응진싹 희석액을

담아두고 면봉으로 하나씩

묻혀가면서 잡았다.

 

필자 생각에 직접 잡는 방법이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힘이 들고 시간이 왕창 들지만...

직접 잡는 방법

<면봉에 대유 응진싹>

대유 응진싹 응애와 진딧물

<진딧물이 열심히 도망가고 있다>

진딧물이 달린다

 

② 진딧물 제거제 대유 응진싹

 

응애벌레가 미니장미를 습격했을 때

대유 응진싹을 구입했었다.

 

그러나 기대만큼 효과를 보지 못해

한 구석에 치워두었는데

 

대유 응진싹은 응애벌레와 진딧물을

싹 제거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같은데 진딧물에는 효과가 있을까?

 

일단 대유 응진싹 희석액을

소국 잎과 줄기에 듬뿍 분무한 후

비닐봉지로 화분 전체를 쌓은 채

하루를 두었다.

 

그다음 물을 씻어 주라고 했지만

그건 아직...

 

여하튼 효과는 있어 보인다.

대유 응진싹을 뿌렸다.

 

③ 진딧물 제거제 만들기

 

진딧물 제거제를 만드는 방법

참 다양한 것 같다.

 

여기서는 그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같은 천연 진딧물 제거제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마요네즈 진딧물 제거제

만들기

 

<준비물>

500ml 생수병, 마요네즈, 치약

 

1. 물 500ml 생수병에 물을 담는다.

 2. 생수병 뚜껑에 마요네즈를 짠다.

3. 마요네즈 뚜껑에 치약을 1회용

정도 짜 넣는다.

4. 뚜껑을 닫고 흔들어 잘 섞는다.

잘 섞일 때까지 열심히

5. 천연 진딧물 제거제 완성

6. 분무기에 넣어 골고루 충분히

살포한다.


<진딧물이 또 열심히 도망간다>

진딧물의 역주

상기의 진딧물 제거 방법 중

①번과 ②번을 사용해 본 결과

대체로 진딧물은 많이 해결된 듯

하지만 완전 제거까지는 2~3번은

더 해야 할 것 같다.

 

다음 포스팅에서

천연 진딧물 제거제를

직접 만들어 보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